차노
- 하늘공원_커플 2010.07.25 1
- Nortel 8600 부팅과정 2010.07.05
- Nortel 8600 OS upgrade 2010.06.30
- SMLT (Split Multilink Trunking) 2010.06.04
하늘공원_커플
Nortel 8600 부팅과정
Passport 8600 스위치는 4단계의 부팅과정을 갖는다.
전원을 켜면 SF/CPU에 내장된 부트로더가 실행되면서 부팅이 시작된다.
Stage 1: Loading the boot monitor image
전원이 켜지면 SF/CPU 가 부트모니터 이미지를 로드시킨다.
부트모니터 이미지 로딩이 완료되면 콘솔포트나 모뎀포트, 외장메모리카드 슬롯 등등...이 초기화 된다.
이때, 입출력포트는 사용불가능함.
Stage 2: Loading the boot configuration
부트모니터 이미지가 로딩이 완료되면, 외부메모리카드 슬롯에 메모리가 있으면, /pcmcia/pcmboot.cfg에서
파일을 로드시킨다.
외부메모리카드가 없거나 외부 메모리에 pcmboot.cfg 파일이 없으면 /flash/boot.cfg 을 로드시킨다.
/flash/boot.cfg이 없고, 외부메모리카드에/pcmcia/boot.cfg 파일이 있을 경우 boot.cfg 를 로드시킨다.
위의 3가지 경우에도 config 파일을 못 찾으면 default boot-configuration setting을 시작한다.
주의 : pcmcia 카드는 sandisk 제품을 사용하지마세요!
sandisk제품을 사용시에 부팅시에 config파일을 제대로 읽을 수가 없습니다.
autoboot flag 이 disable 이거나 부팅중에서 콘솔에서 부팅을 중단시키면 boot monitor 모드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boot monitor 모드에서는 boot configuration 이나 boot monitor image, run-time image 를 업그레이드 가능.
Stage 3: Loading the run-time image
boot configuration 로딩이 완료되면 run-time image가 로딩된다. run-time image는 입출력 모듈을 초기화시키고,
8600의 모든 기능을 동작하게 한다.
run-time image는 flash, pcmcia, TFTP server 에서 로딩이 가능하다.
configration 파일(/pcmcia/boot.cfg, /flash/boot.cfg) 에 default 로드 순서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고,
어디서 run-time image파일을 어떤 우선순위로 불러올지 설정 가능하다. (boot monitor 모드에서)
Stage 4: Loading the switch configuration file
마지막으로 스위치 configuration 파일(/flash/config.cfg)을 로딩한다.
스위치configuration 에는 아래와 같은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다.
• Chassis configuration
• Port configuration
• Spanning tree group (STG) configuration
• VLAN configuration
• Routing configuration
• IP address assignments
• RMON configuration
Nortel 8600 OS upgrade
기존에 있던 파일 백업.
copy /flash/config.cfg 128.1.119.119:config.cfg
copy /flash/boot.cfg 128.1.119.119:boot.cf
작업하기전에 flash 에있는 파일을 PCMCIA카드로 백업 및 동기화 하기(Backup CPU 포함)
copy /flash/config.cfg /pcmcia/config.cfg
copy /flash/boot.cfg /pcmcia/boot.cfg
Upgrade 할 OS버전의 이미지들을 Flash 및 PCMCIA카드로 밀어넣기(Maser CPU만 가능)
copy 128.1.119.119:p80a37170.img /flash/
copy 128.1.119.119:p80b37170.img /flash/
copy 128.1.119.119:p80c37170.img /flash/
copy 128.1.119.119:p80a37170.img /pcmcia/
copy 128.1.119.119:p80b37170.img /pcmcia/
copy 128.1.119.119:p80c37170.img /pcmcia/
Backup CPU는 Active로 동작하지 않기때문에, Master의 PCMCIA카드를 통하여 옮겨넣어야함
copy /pcmcia/p80a37170.img /flash/
copy /pcmcia/p80b37170.img /flash/
copy /pcmcia/p80c37170.img /flash/
copy /flash/p80a37170.img /pcmcia/
copy /flash/p80b37170.img /pcmcia/
copy /flash/p80c37170.img /pcmcia/
dir로 확인하고 부팅시에 불러올 런타임 이미지를 지정해줌(Backup CPU 포함)
config bootconfig choice primary image-file /flash/p80a37170.img
config bootconfig choice secondary image-file /pcmcia/p80a37170.img
save boot
다음의 명령어를 통하여, Primary및 Secondary가 잘 지정되었는지 확인(Backup CPU 포함)
show bootconfig choice
모두다 확인이 끝났으면, 새로운 OS의 부팅 이미지로 부팅시킴(Backup CPU 포함)
boot /flash/p80b37170.img
Master 및 Backup CPU를 모두 부팅하였으면 자동으로 새로운 버젼으로 부팅되고, 이를 확인
show sys info
show sys sw
Log 및 스위치및 단말들이 정상적으로 올라오는지를 확인
show log file tail
show ip arp info
File Names for This Release
File Name Module or File Type File Size (bytes)
p80b4140.img Boot monitor image 1072078
p80a4140.img Runtime image 8752430
p80j4140.dld Run-time image for R modules 1271568
p80c4140.img 3DES 55928
p80c4140.aes AES(this image includes the 3DES image) 26112
p80a4140.mib MIB 3327018
p80a4140.mib.zip MIB (zip file) 532817
p80a4140.md5 md5 checksum file 1489
SMLT (Split Multilink Trunking)
MLT : 여러개의 물리적인 링크를 하나의 가상링크(논리적링크)로 묶는 것.
redundancy, resiliency,bandwitdh 가 향상된다.
DMLT : 같은 샤시의 다른슬롯끼리 MLT를 여러게 구성한 것
모듈장애를 대비한 구성, IST를 구성할때 주로 사용한다.
SMLT : Notel 만의 독자적인 기술
2대의 Core 스위치를 논리적으로 1대의 스위치로 묶는다.
Single port SMLT : OS 3.5버전부터 제공함.
SMLT는 최대 32그룹까지 지원되나 Single port SMLT 는 383개 까지 그룹이 생성가능.
SMLT 구성요소
- SMLT Aggregation switch : IST로 연결되어 포워딩 정보나 기타 다른 정보들을 서로 공유하는 스위치
- IST(Inter Switch Trunk) : Aggregation switch들 간의 point-to-point 연결 링크.
두 스위치간의 정보공유로 논리적으로 하나의 스위치 처럼 동작.
안정성 강화를 위해 DMLT사용. (IST링크가 죽으면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
- SMLT Client : 네트워크 종단에 위치해있는 스위치나 CPE
SMLT기능이 없어도 무관하나 link aggregation 기능은 가지고 있어야 함.
데이터의 흐름
SMLT 환경에서 traffic흐름에는 몇가지 규칙이 있다.
1. IST port로 부터 받은 packet은 SMLT port로 포워딩 하지않는다.
이 규칙은 SMLT에서의 LOOP현상을 막는다. 또한 SMLT포트로 지정되면 STP는 자동으로 disable 된다.
2. 일단 패킷을 수신하면 fowarding database를 검사한다.
만약 entry 가 있거나 SMLT나 IST 로 부터 local learning 한 경우 로컬포트로 포워딩 한다.
Unknown 이거나 Broadcast packet 일 경우 해당 VLAN의 모든포트로 플로딩 된다.
3. Loadsharing 하기 위해서 MLT알고리즘을 사용한다.
L2 트래픽인 경우 source/destination MAC 주소를
L3 트래픽인 경우 source/destination IP 주소를 XOR 연산후
포트수만큼 나눠서 나머지 값으로 여러 MLT링크중 하나를 결정한다.
예)
Source MAC 00 00 00 00 23
Destination MAC 00 00 00 00 1E
Number of ports per group 3
Ports are numbered 0, 1 & 2
1 0 0 0 1 1
XOR
0 1 1 1 1 0
---------------
1 1 1 1 0 1
111101 in Decimal is 61
61 MOD 3 = 1 번 포트로 포워딩
SMLT 4가지 topology
SMLT 구성시 다음의 4가지 타입을 권장함.
1. Single port SMLT
MLT 그룹이 32개 미만일 경우 사용
Server farm application에서 주로 사용한다.
2. Triangle SMLT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성
3. Square SMLT
Enterprise core 에서 사용
적당한 resiliency(회복력) 제공
4. Full-Mesh SMLT
강력한 resiliency(회복력) 제공
core - core , core - distribution 구간에 주소 사용한다.
비 경제적인 구성